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가 받을 근로장려금 지금 바로 확인하기, 2023년 근로장려금 산정표

by richcat7 2023. 5. 2.
반응형

2023년 근로장려금 얼마 받을지 지금 바로 확인하시죠. 오늘은 2023년 근로장려금 산정표를 준비했습니다. 요즘처럼 가계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단 얼마라도 정부에서 지원금을 지급한다면 받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본인의 소득 기준에 따라 얼마 받을 수 있는지 미리 확인해 보세요.

 

근로장려금-산정표

 

근로장려금 산정표

2023년 조세특계제한법 시행령[별표 11] <개정 2023.2.28>

근로장려금 산정표 (제 100조의 6제5항 관련)

[별표 11] 근로장려금 산정표(제100조의6제5항 관련)(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pdf
0.11MB

 

 

 

 

 

근로장려금-산정표

근로장려금 소득기준

위의 내용은 단독가구, 홑벌이가구, 맞벌이가구 소득별 근로장려금 산정표입니다. 단독가구는 2022년 연간 총소득이 2,200만 원 미만, 홑벌이가구는 3,200만 원 미만, 맞벌이가구는 3,800만 원 미만이라는 조건에만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도 근로장려금은 전년도와 비교하여 가구별 전 구간 지원금이 10% 상향되었습니다.

  • 단독가구: 배우자,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없는 가구. 단독가구에 대한 연령제한이 폐지됨
  • 홑벌이가구: 배우자나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 각각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 원 이하여야 함
  • 맞벌이가구: 신청인과 배우자 각각의 총 급여액 등이 300만 원 이상인 가구

부양자녀 범위에 따라 홑벌이와 단독가구로 나누어집니다. 

  • 거주자(배우자 포함) 자녀이거나 동거입양자일 것
  • 만 18세 미만일 것
  • 연간 소득금액 합계액 100만 원 이하일 것
  • 주민등록표상 동거가족으로 해당 거주지에서 현실적으로 생계를 같이하는 경우일 것

 

근로장려금 재산기준

재산기준은 단독가구, 홑벌이가구, 맞벌이가구 공통으로 2.4억 원 미만이어야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작년 2억 원에서 상향조절된 것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4억 원은 전세금, 자동차, 주택, 금융자산 등이 모두 포함되며 부채는 차감되지 않으며, 대출도 포함되어 산정됩니다. 예를 들어 3억 원 집에 대출 1억 원을 받았다 하더라도 재산은 3억 원으로 계산됩니다.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 5월 1일 ~ 31일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 ARS 1544-9944
  • 모바일앱 손택스
  • 국세청 홈택스

 

☞ 근로장려금 수급자 추가 지원제도, 저금리 대출, 고금리 적금 클릭

☞ 근로장려금 자동신청 제도 클릭

☞ 2023년 근로장려금 총정리 클릭

☞ 자영업자, 프리랜서 근로장려금 클릭

 

▣ 마무리

오늘은 근로장려금 산정표를 통해 가구별 근로장려금을 얼마 받을 수 있는지 바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단독가구, 홑벌이가구, 맞벌이가구에 따라 소득별 근로장려금을 바로 확인하세요.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부족한 가정 경제에 현금으로 직접 지원금을 주는 정책입니다. 지금처럼 어려운 가정경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