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매개 엠폭스 확진자 급증, 중대본 백신 접종, 증상, 치료 방법, 감염 경로

by richcat7 2023. 5. 8.
반응형

엠폭스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엠폭스는 성관계 등 성매개 밀접접촉을 통한 감염 비율이 높습니다. 중대본은 엠폭스 접촉자 및 고위험군에 속하는 의료진 등의 백신 접종을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엠폭스에 대한 정확한 감염 경로, 증상, 치료 방법, 백신 등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확산되는-엠폭스

 

엠폭스 확산, 성매개 확산세

원래 엠폭스(옛 명칭, 원숭이두창)는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던 풍토병이었습니다. 이것이 몇 년 전부터 풍토병 지역이 아닌 유럽 등의 다른 지역에서 발생,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국내에는 2022년 6월 첫 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 현재까지 60명의 환자가 나왔습니다. 

 

부산과 광주에는 첫 확진자가 발생한 것입니다. 최근 발생하는 확진자는 해외 여행력이 없고 모두 국내 지역 감염으로 추정되며, 성접촉에 의한 감염이라고 방역당국이 밝혔습니다. 이들에게는 항문과 생식기 통증을 동반한 국소 피부병변(궤양, 종창, 발진)을 비롯해 발열,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확인되었습니다. 참으로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엠폭스 증상

발열, 오한, 근육통 등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합니다. 특이 증상은 얼굴, 입, 손, 항문, 생식기에 발진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초기에는 뾰루지나 물집처럼 보이지만 통증과 가려움이 점점 심해진다고 합니다.

 

엠폭스 감염경로, 성매개 감염 확산

엠폭스는 감염환자와의 밀접 접촉으로 감염됩니다. 공기전파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정부도 엠폭스가 성관계 등 성매개 감염율이 높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제대로 국민들에게 인지되지 않아 감염 확산 방지 및 예방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당국은 좀 더 적극적으로 엠폭스 예방법을 알릴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성매개 전염병은 환자들이 감염경로 및 감염 자체를 숨기려는 경향이 있어서 확산 방지와 예방에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성 매개성 매개 전파되는 질환들은 대부분 추적이 어렵고요
-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MBC 뉴스데스크

밀접 접촉이라는 것은 가까운 거리에서 밀접한 접촉,
성 접촉이라든가 아니면 피부 접촉이라든가 이런 것을 통해서
대단히 밀접하게 접촉이 일어난 것을 말씀을 드립니다.
- 임숙영, 중앙방역대첵본부 상황총괄단장,
MBC 뉴스데스크

 

엠폭스 치료 방법, 치사율

엠폭스는 통상적으로 2~4주 후 자연 치유되며, 치사율은 1% 미만입니다. 다만 면연저하자, 8세 미만 소아,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에게는 중증도가 높으며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엠폭스 예방법

우리는 코로나를 경험하면서 가장 좋은 예방법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바로 위생입니다. 자주 손을 씻고 소독해 주는 것 이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 손으로 얼굴 등을 만지는 행동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 엠폭스 성매개, 성접촉 감염 확산 실태

 

엠폭스, 성접촉, 성 매개 전파 가능성, 우려점, 방역당국 성접촉 정확하게 감염경로 표현해줘야

엠폭스, 사실상 성접촉, 성 매개 전파라는 사실이 점점 대두되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감염경로를 좀더 정확하게 표현해 줘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

richcat7.tistory.com

☞ 엠폭스 총정리, 증상, 예방법, 치료법, 감염 대처법

 

엠폭스, 원숭이두창, 증상, 검사방법, 감염경로, 치료법, 치명율, 백신, 예방법, 의료기관, 의심증

오늘은 엠폭스, 원숭이두창의 증상, 검사방법, 감염경로, 치료법, 치명률, 예방법, 의료기관, 의심증상자 행동요령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최근 엠폭스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여행

richcat7.tistory.com

 

▣ 마무리

오늘은 급증하고 있는 엠폭스자 상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특히 엠폭스는 성관계 등 성매개 밀접접촉을 통한 감염 비율이 높아 감염 예방, 백신, 증상,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