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드디어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기본 금리 및 우대 금리 조건이 결정되었습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우대조건, 신청조건, 중도해지 등 관련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로써 정부가 청년들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5년 동안 5,000원 모으기 위한 조건 인 6% 금리 조건이 갖춰지게 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만 19세~34세 청년들이 5년 만에 5,000만 원 모을 수 있는 구조와, 그 당성을 위해 꼭 필요한 6% 금리 구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앞으로 5년 동안 매달 70만 원을 납부하면 5년 후에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금리 6%는 기본금리에 소득조건에 따른 우대 금리 그리고 은행별 우대 금릴 합치는 경우 가능합니다.
- 5년 만에 5,000만 원 목돈 형성 구조: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납부 + 정부 기여금 + 6% 금리 (A)
- (A) 6% 금리 구조: 기본금리(3.8~4.5%) + 소득조건에 따른 우대 금리(0.5%)(B) + 은행별 우대 금리(1~1.7%)
- (B) 소득조건에 따른 우대 금리: 총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사업소득 1,600만 원 이하인 경우, 우대 금리 0.5% 추가 적용
- 3년 동안 고정금리, 2년 동안 변동금리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은행 | 기본금리 (3년 고정) |
소득 우대 | 우대금리 | 우대금리 모두 충족시 금리 |
농협 | 4.5% | 0.5% | 1.0% | 6.0% |
신한 | 4.5% | 0.5% | 1.0% | 6.0% |
우리 | 4.5% | 0.5% | 1.0% | 6.0% |
하나 | 4.5% | 0.5% | 1.0% | 6.0% |
기업 | 4.5% | 0.5% | 1.0% | 6.0% |
국민 | 4.5% | 0.5% | 1.0% | 6.0% |
대구 | 4.0% | 0.5% | 1.5% | 6.0% |
부산 | 4.0% | 0.5% | 1.5% | 6.0% |
광주 | 3.8% | 0.5% | 1.7% | 6.0% |
전북 | 3.8% | 0.5% | 1.7% | 6.0% |
경남 | 4.0% | 0.5% | 1.5% | 6.0% |
SC | 2024년도 출시 예정 |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아래의 특별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 본인 납입금과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 혜택도 적용됩니다. 아래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해지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 특별중도해지 사유
-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 가입자의 퇴직
- 사업장의 폐업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생애최초 주택구입
청년도약계좌 신청
- 2023년 6월 15일부터 신청 가능
- 첫 5일(6월 15일 ~ 21일)은 출생연도 기준으로 5부제 시행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우대조건, 신청조건, 중도해지 등 관련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가입 첫날부터 많은 사람들이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해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인의 출생 연도에 맞는 날짜를 찾아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내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