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청년지원금, 청년 월세 지원

by richcat7 2023. 4. 29.
반응형

오늘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부는 한시적으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월세를 지원해 주고 있습니다. 아래 자격 요건에 해당되는 청년은 무조건 월세 지원금 받는 것을 권합니다.

 

청년월세-한시-특별지원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내용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은 부모로부터 독립해 거주하고 있는 무주택청년에게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2997억 원이 투입됩니다. 국토부는 자격 요건에 해당되는 지원 대상이 되는 청년은 약 15만 2000명 정도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2022년 8월부터 2024년까지 한시적으로 월세로 거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월세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만 19세 ~ 34세 무주택 청년에게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를 240만 원(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회) 동안 지원합니다.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만 해당됩니다.

 

  • 방학기나 등으로 수급기간이 연속적이지 않더라도 지급기간 내 12개월(회)분을 지원합니다.
  • 실 월세 범위 내에서 지원합니다.
  • 임차보증금, 관리비는 제외하고 지원합니다.
  • 월세는 청년 본인의 계좌로 지급됩니다.
  • 본인 명의의 계좌 개설이 곤란할 경우, 기초생활보장제도 계좌관리 원칙에 따릅니다. 
  • 주거급여 수급자의 경우, 주거금여액 중 월차임분(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액 포함)을 차감한 금액만 지원합니다.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자격 요건

  • 만 19세 ~ 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중 청년독립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면서,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인 청년을 지원합니다.
    1. 청년독립가구: 청년+배우자+직계비속+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그 외 민법 상 가족
    2. 원가구: 청년독립가구+1촌 이내 직계혈족(부,모)
  • ①만 30세 이상 ②혼인(이혼) ③미혼부모 ④만 30세 미만 미혼 청년의 소득이 중위소득 50% 이상으로 생계를 달리한다고 시, 군, 구청장이 인정하는 경우 등은 원가구 소득 미고려
  • 다른 월세 지원 사업이나 주거비 경감 혜택을 받고 있는 경우 자격 요건에서 제외됩니다.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방법

  •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에 본인 직접 방문해 신청
    1. 청년 본인 방문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 대리인(법정대리인 /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동거인 제외) / 동일 세대원이 아닌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도 신청 가능함. 해당 경우에도 월세는 청년 본인 계좌로 지급됨
    2. 대리인 신청 시 위임장, 대리인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을 지참 후 방문
  • 온라인 신청: 복지로 사이트 bokjiro.go.kr

 

|| 문의처

 

▣ 마무리

오늘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부가 청년을 대상으로 현금을 지원하는 정책을 점점 더 확대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코로나 여파로 아직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이 많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위의 내용을 보시고 자격요건에 해당된다면 꼭 지원금 신청하길 권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