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는 크게 연금형과 매매 수익형이 있다. 연금형 주식 투자 방법은 부자들이 포트폴리오에 일정 부분 비율로 담아두는 투자 방법으로, 고배당 월배당 종목으로 매월 들어오는 고정수입으로 확보해 월복리 효과까지 보는 투자이다.
매매 수익형 주식 투자 방식은 중단기 매도 매수를 통해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이 방법으로 개인 투자자가 수익을 내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래서 본인이 대단히 매매 기술이 뛰어난 것이 아니라면 연금형 주식 투자를 하기를 권한다. 특히 미국주식은 매월 배당을 그것도 고배당으로 지급하는 종목과 상품이 많이 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대표 월배당 고배당 미국주식인 JEPI를 소개하고자 한다.
JEPI 종목 소개
JEPI는 우리나라 개인 투자자들에게 상당히 인기가 많은 미국 ETF이다. 고배당, 월배당, 달러수입, 복리효과라는 4대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서도 주가 방어력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자신이 매매의 기술이 뛰어나지 않다면 JEPI에 일정 금액을 투자해 두고 매달 배당으로 급여 외 두 번째 월급으로 세팅해 두는 것도 좋다.
- 종목명: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 티커: JPEI
- 운용사: JP 모건 체이스
- 연 평균 배당률: 10.62%
- 배당 주기: 월배당 / 매달 초 지급
- 보수율: 0.35%
- 상장일: 2020년 5월 20일
JEPI 투자 전략
JEPI는 벤치마크인 S&P 500 구성 종목의 액티브 포트폴리오로 ELN 및 콜옵션을 통해 투자목표와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배당금으로 주주에게 지급한다. 변동성을 낮추기 위해 ELN, 콜옵션 매도 등 투자방식을 택하고 있다.
- 액티브 펀드
- S&P 500 라지캡(시총 100억 달러 이상) 및 미드캡(시총 20억~100억 달러) 기업 투자
- S&P 500 외 기업도 투자
- 펀더멘탈 바텀 업 방식으로 리서치 진행
- 저평가 기업 발굴하여 투자
- 우량하면서도 변동성이 낮은 종목으로 분산 포트폴리오 구성
JEPI 배당금 주요 원천 및 배당 일정
JEPI가 고배당 주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만큼 그 배당금의 주요 원천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JEPI는 ELN(주식 연계 채권)을 활용한 커버드콜 전략으로 수익을 창출하는데, 순자산의 최대 20%를 ELN을 활용한 커버드콜 전략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이것이 주요 배당금의 원천으로 보인다. 하지만 투자 수익과 ELN 수익구를 정확히는 밝히고 있지 않아, 향후 배당성향이 어떻게 될지, 배당금 확보는 어떻게 될지 다소 미지수이다.
작년 배당과 비교해보면 2022년 1월을 제외하고는 전년대비 큰 폭으로 배당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11월과 12월은 전년 동월 대비 60% 이상 증액된 배당금을 지급했다. 아래 표는 2022년 배당락일과 배당금 지급일을 표시해 둔 것이다. 배당락일과 배당 지급일은 매월 초로 특별한 이슈가 없는 한 큰 변동은 없다.
2022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배 당 락 일 | 1일 | 1일 | 1일 | 1일 | 1일 | 1일 | 1일 | 1일 | 1일 | 3일 | 1일 | 1일 | |
배당금지급일 | 4일 | 4일 | 4일 | 6일 | 5일 | 6일 | 7일 | 4일 | 7일 | 6일 | 4일 | 6일 | |
비 고 | 전년 대비 40% 증가 |
전년대비 66% 증가 |
전년 대비 60% 증가 |
특히 한국 개인 투자자에게 인기가 많은 JEPI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았다. 2022년 한 해의 마지막 12월 배당도 지난 6일 입금 받았다. 자신의 투자 성향이 잦은 매매보다는 안정적인 수입에 더 잘 맞다면 고배당 월배당 대장인 JEPI 투자 검토도 한번 해보자.
댓글